개인 자료란 (JE)

  서버 커뮤니티

Profile gamediller 대표칭호 없음

gamediller 2a784fc0c0a24653af234e717f994dba

Profile

커뮤니티 소통 잡담하기

요즘 핫한 Ai Grok3과 철학 논리 배틀 떠봤습니다.

2025.02.25 조회 수 87 추천 수 0

일론머스크의 Grok이 출시 1년만에 선두 ai를 앞섰다고 하기에 바로 달려가서 써봤습니다.

Grok3 첫 대화

실시간 검색이 가능한지 최신 AI 소식을 한국어로 물어보니
한국어로 검색했는지 대부분 한국 사이트에서 글을 가져옵니다.
해외 정보를 못 가져오는 것 같으면, 따로 해외에서 알아본 후 번역해서 알려달라고 하면 될 것 같습니다.
Ai 프롬포트의 세계는 정말 복잡한 것 같습니다.
글을 가져오는건 거기서 거기니 바로 철학 요약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Grok3 테세우스의 배 요약
제가 ChatGPT pro를 결제해서 몇달간 사용했는데, 개인적으로 Grok3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기원 -> 핵심 내용 -> 논쟁 초점 -> 확장 -> 결론으로 5단계로 설명하는데
ChatGPT4o인 경우 논쟁 초점 부분에서 관점을 잇터넷에서 긁어서 나열해서 쓸데없이 길어지거나
글을 길게 적어서 문제의 핵심이 묻히는 느낌이 있는데 Grok3은 깔끔하게 짧은 문장 2줄로 알려줍니다.

ChatGPTo3 테세우스의 배 요약

2. 정체성의 기준 (논쟁 핵심)이 제일 중요한데 뭔가 길고 나무위키나 어디서 긁어온 느낌이 듭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자연스러운데 사용하는 입장에서 뭔가 길게 늘어뜨린것 같아 별로인데,
이런건 개인 취향과 Ai가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다르니 넘어가고
어떤식의 추론을 통해 이렇게 대답했는지 확인해봐야겠습니다.

ChatGPTo3 테세우스의 배 추론 과정

굉장히 짧습니다. o3-mini 가 '고급 이성에 빠름'이긴한데 뭔가 아쉽습니다.
개인적으로 4o와 o3는 추론 시간에 따른 글 길이 말고는 큰 차이를 못 느껴서 많이 아쉽운 답변입니다.
o1은 더 추론 시간과 글 길이가 더 길어지는데 큰 차이는 없고 o3-mini-high에서 많이 짧은 내용으로 요약해서 답변하지만,

ChatGPT-o3-mini-high 테세우스의 배 추론 과정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빠지고 글이 많이 짧아졌습니다. 확실히 글이 미사여구를 줄이고 깔끔해지지만
너무 줄인 느낌이 큽니다.
글이 길어지니 바로 Grok3 추론 과정으로 넘어가겠습니다.

Grok3 테세우스의 배 추론 과정

ChatGPT는 모두 1~5줄 추론 과정 로그를 제공하지만
Grok3는 엄청 긴 로그를 보여줍니다. 아마 ChatGPT가 추론 과정 로그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것 같은데..
나중에 좀 더 알아보기로 하고 철학 토론 부분으로 넘어가겠습니다.

Grok3 오류

토론 주제 선택을 위해 토론 주제에 대해 물어보자
한국어는 불안정한지 "정리해�봤어요."라고 말합니다.
아직 불안정한가 봅니다. 전에 봤던 트롤리 문제를 골라서 확률론으로 5명을 구하는게 옮다고 우겨보겠습니다.


여러 관점중 다른 요소를 모두 배제하면 정배라고 생각되는 확률론을 얘기하며 5명을 구하는게 맞다! 라고 해보니
엄청 ~ 길게 답변해줍니다.


처음은 트롤리 문제에 대해로 시작해 제 주장을 분석합니다.
트롤리 문제에 대해 길게 말하는데 굳이 있을 필요가 있었나? 싶습니다.

오.. 의무론을 꺼내서 '너가 1명을 죽인거나 마찬가지'라며 날카롭게 반박합니다.
그러면서 제 주장의 한계에 대해 반박합니다.
굉장히 똑똑합니다만, 여기까지는 잇터넷에서 글을 긁어서 정리한 답변에 가깝죠
이후 저의 반박에 제대로 답변해야 비로소 정말 똑똑하다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답변을 끝마치는데 불리한 부분은 쏙 빼고 유리한부분만 반박하면 어떻게하는지 보겠습니다.

그랬더니.. 오... 길게 나와서 부분적으로 짚어가겠습니다.

1. 확률론적 접근의 한계에 대한 답변은 제가 타당하다며 인정합니다.
의무론에 대한 날카로운 반박을 했던건 사라지는데
사용자 성향을 고려해서 '오구오구 주인님 말이 맞습니다!'하는 느낌이 듭니다.


2. 도덕적 책임에 대해서도 제가 맞다고 그냥 인정합니다... 뭔가 팍 식어버립니다.


전체적으로 제가 맞다며 인정하며 끝을 냅니다. 주장에 대한 정확한 반박을 받기위해 더 물어봅니다.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좀 더 복잡한 용어를 써가며 3개로 나누어서 반박합니다.
"당신의 주장은 이런 정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라고 합니다.. 오.. Ai치고 꽤 공격적인 말투입니다.
보통은 "그 1명에게는 불공정할 수 있습니다."에 끝마치는데...
"그 1명에게는 극단적인 불공정일 수 있습니다."라고 합니다.
그럴리 없지만 뭔가 열받은 느낌입니다.

두번째 도덕적 책임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반박을 합니다.
뭔가 사용자 니즈? 요구를 받아들여서 관련 반박글을 3개씩 찾아서 반박하는 내용을 작성한 것 같습니다.

끝에가서는 모순점에 대해 묻고 결론을 요약해줍니다.
그리고 끝에가서는 Ai특유의 대화하는듯한 말을 적어놓습니다.

제 주장은 꽤 견고하지만 한계가 있다며 끝마칩니다. 이번에는 글을 긁어서 정리한게 아닌 자기 주장을 펼친것 같은데...
여전히 전에 반박한 의무론은 쏙 빠져있습니다. 다시 반박해보겠습니다.

확률론적 접근에 대한 반박은 트롤리 딜레마에서는 그런 너에게 유리한 경우만 가정하지 않는다 
궤변에 가까운? 반박을 적어봤습니다.

이어서 "너가 말한 경우는 논점에서 벗어남 암튼 그럼"식으로 반박해줍니다.

계속해서 "너가 한 주장은 궤변임!"라며 궤변 테크 트리를타면서 반박을 마무리합니다.
과연 전에 반박한 의무론을 꺼내서 제대로 반박을 할까요? 아니면 그냥 인정한다며 "주인님이 옮다"를 시전할까요?

아... "당신의 주장이 얼마나 견고한지 평가하겠습니다." 그냥 당신이 옮다!를 하는것 같습니다....

예... 제가 맞다며 인정을 합니다. 이게 일부분이면 "아 이부분은 인정을하고 들어가는구나!"라고 넘어갈 수 있는데..

다음거도 전부 다 제 주장이 타당하다며 "당신 말은 모두 타당하오!"을 의도적으로 한 느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당신의 주장은 여전히 견고합니다." 라며 칭찬에 가깝게 답변합니다.
아무래도 찬반 토론이 아닌 "토론"을 하자고해서 입장을 바꾸는것 같은데.. 많이 아쉽습니다.

끝으로는 칭찬을 잔뜩하고 추가 논의를 제시하며 마무리짓습니다.
제가 프롬포트를 잘못 작성한것 같아 다시 해보고 싶지만.. 지금 새벽 3시라 다음에 해보겠습니다...




Warning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을 등록해 주세요!

뉴스 및 창작물
/files/thumbnails/482/063/004/262x150.crop.jpg?20250618232717

업데이트

마인크래프트 자바 1.21.6 (Minecraft Java Edition 1.21.6)

updater

2025-06-18

0

/files/thumbnails/520/060/004/262x150.crop.jpg?20250612233233

업데이트

마인크래프트 자바 1.21.6 릴리스 후보 1 한국어 번역본 (Minecraft 1.21.6 Release Candidate 1)

updater

2025-06-12

0

/files/thumbnails/267/050/004/262x150.crop.jpg?20250611010233

업데이트

마인크래프트 자바 1.21.6 프리릴리스 1 한국어 번역본 (Minecraft 1.21.6 Pre-Release 1)

updater

2025-05-28

1

/files/thumbnails/166/043/004/262x150.crop.jpg?20250603112940

업데이트

마인크래프트 자바 스냅숏 25w20a 한국어 번역본 (Minecraft Snapshot 25w20a)

updater

2025-05-14

0

/files/thumbnails/255/028/004/262x150.crop.jpg?20250603113100

업데이트

마인크래프트 자바 스냅숏 25w16a 한국어 번역본 (Minecraft Snapshot 25w16a)

updater

2025-04-16

0